목표
목표 및 전략
핵심목표
1. 유망 예비창업기업 집중 발굴 및 선정2. 창업기업 밀착관리 및 육성
3. 창업 네트워크 활성화 및 사후관리 강화
핵심과제별 세부목표
핵심과제 | 목표 |
---|---|
유망 예비창업기업 집중 발굴·선정 |
|
창업기업 밀착관리 및 육성 |
|
창업 네트워크 및 사후관리 강화 |
|
핵심목표 1
유망 예비창업기업 발굴 및 선정
유망 청장년 창업기업 집중 발굴·육성
- 투자 10억원 이상의 유망 청장년 창업기업 10개사 양성 목표
- 사회적 관심이 높은 청년창업 활성화
- 창업강좌 및 창업동아리 지원 등을 통한 학생창업 활성화 및 관심 제고
- 기술융합형 창업자 선발 비중 강화
4차 산업분야 아기 유니콘기업 발굴·육성
- 4차 산업분야 아기 유니콘기업 양성을 목표로 4차 산업분야의 성장 가능한 우수 예비창업기업을 집중 지원하여 아기 유니콘기업으로의 육성 및 투자, 판로 등 후속지원 프로그램으로의 연계를 추진함
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소유한 창업자 발굴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및 홍보
- 원스톱 창업상담창구를 활용한 상담리스트 작성과 관리를 통해 우수창업자 발굴
-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홍보를 통하여 예비창업자 발굴
- 창업자들의 특성에 따른 세분화차별화된 홍보전략 수립
핵심목표 2
창업기업 밀착관리 및 육성
아이디어를 비즈니스모델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 단계별 실전 창업 교육

예비창업자 육성을 위한 단계별 교육을 온오프라인으로 병행하여 진행
- 기초/공통교육 :‘창업에듀’를 통한 사업운영 및 사업비 집행교육 및 통합정보관리시스템 활용교육, 창업기초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실무중심의 교육 및 정보제공
- 맞춤형교육 : 창업기업의 성과창출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체험실습위주의 교육
구성된 분야별 전문 멘토 POOL 활용
- 주관기관에서 구축한 다양한 전문가 POOL을 활용하여 전문멘토링 제공
- 경영, 기술, 투자 3분야의 멘토 POOL 검증 및 재구성을 통한 지속적인 확대
- 경기대학교 교수들로 구성된 114 재능기부 멘토단을 활용하여 애로기술 해결
멘토링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창업성공률 100% 달성
- 예비창업자들의 아이템 분야별 전문가 매칭 및 1:1 맞춤형 멘토링을 지원하여, 시제품 제작 시 발생하는 기술 및 경영 애로사항 해결
- 시제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실시하여 제품보완 및 마케팅 전략 수립 지원
- 홍보 영상 및 온라인 기사송출 등 마케팅 및 소비자 반응조사 지원
핵심목표 3
창업 네트워크 및 사후관리 강화
창업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스타트업 네트워크 프로그램 진행
- 예비창업패키지 졸업기업 대표 우수사례 및 특강, 네트워킹 추진
- 선후배 창업자간 멘토링 및 상호 정보교류를 통한 창업 활성화
- 창업 분야별 전문가 특강 및 세미나 개최
- 전문가와 창업자간의 교류를 통한 전문가와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
- 언택트 시대에 맞추어 비대면 네트워킹의 효과를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
네트워킹 및 성과확산을 위한 도내 유관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진행
- 경기 스타트업 Jump up, 경기창업경진대회 등 도내 유관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진행을 통하여 네트워크 구축 및 창업 성과 확산
- 도내 유관기관 간 협업 및 기업 연계지원을 위한 협약 기관 확대
졸업기업의 성과촉진 및 사후관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
- 투자, 매출, 고용 등 성과관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
- 창업아이템의 기술보호를 위한 전문 변리사 및 변호사 연계 지원
- 투자사 및 엑셀러레이터 연계 및 투자유치 프로그램을 통한 기업 성장발판 마련
- 박람회 및 전시회 참가지원을 통한 판로개척 및 시장진출 기회 마련
- 기업 및 제품 홍보 영상콘텐츠 제작을 지원하여 온오프라인 시장개척 지원
- 본 주관기관 초기창업패키지 초기 창업기업 특화 프로그램 참여 연계